에세이

엠비티아이, 대체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가

돌멩선생 2024. 1. 3. 16:41

 

엠비티아이가 유행하기 시작한 건 대략 약 2018년쯤이었던 것 같은데 

이제는 단순히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사람들 사이에서 명함을 건네거나

통상 이름 묻기 정도로 쓰일 만큼 우리의 일상 속에 자연스레 스며든 것 같습니다.

 

최고야, "과몰입 금지" 라면서도 MBTI에 빠진 한국, 동아일보, 2022.07.17

이런 엠비티아이가 특히 우리나라에서 유별나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한국은 2018년부터 엠비티아이를 많이 검색한 국가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우리나라 사람들은 엠비티아이에 열광할까요?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대한 질문에 답을 내놓은 분들이 있습니다 

 

미래가 불안하고 불확실한 청년층의 심리가 반영된 것 –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

경제 사회적으로 어렵다 보니 자기 성격과 진로를 찾아보려는 심리 –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 

젊은 세대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 – 이택광 경희대 영미문화과 교수

 

답변들에서 굉장히 유사한 부분들이 몇 가지 보입니다.

바로 '불확실하고 불안한 미래를 살아가기 위한 젊은 세대들'이라는 것이죠. 

 

 

 

빠른 사회의 발전과 변화 탓에 선택할 수 있는 직업과 미래에 대한 선택지의 폭이 더욱 넓어졌습니다.

 

하지만 넓어진 선택의 폭과 기회에 비해 우리나라 청년층들은

이를 선택하고 대비하기 위한 연습의 기회, 교육의 제공이 충분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성공의 기준과 추구하는 모습이 확일 적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의 다수의 학생들은 입시중심의 교육현장에서 오로지 '대학입시'라는 목표를 향해 달립니다.

 

 

 

그리고 성공과 실패라는 이분법적인 구조 내에서 좌절하고 절망하죠

입시에 성공한 학생들이라고 불안감이 없어지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아까 말했던 바와 같이 넓어진 선택과 기회의 폭은 이를 결정해야 하는 청년층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죠

 

 

더군다나 대학입시부터 시작하여 취업을 준비할 때 보통 교육기관과 회사는 자기소개서와 같은 서류를 요구합니다.

“우리한테 너에 대해서 한 번 설명해봐. 너는 어떤 사람이니?”

 

늘 책만 피고 정해진 답을 쫓아온 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은 당혹감을 찾아올 것입니다.

 

옛날과 비교하여 손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한들 그 많은 정보 중에서 나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는 없죠. 

 

 

 

공식 엠비티아이 사이트가 아닌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이러한 사회적 맥락과 상황 속에서 엠비티아이가 등장했습니다.

엠비티아이는 확일화된 성격의 우열, 바람직한 인간상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그저 16가지 유형이 존재하며 그 유형들 내에서 각각의 강점과 약점이 있음을 알려주죠

 

어떤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야, 이런 사람이 되어야지를

암묵적으로 강요하며 그러면서도 모순적으로 개성을 요구하는 한국 사회 내에서

자신을 존재를 인식하고 파악하기엔 엠비티아이는 최적의 도구가 되었죠

 

또한 쉬운 설문조사 방법과 적은 비용도 엠비티아이의 인기에 한몫하였습니다.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엠비티아이는 내가 누군지 나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강하게 가지고 있는 젋은 세대의 니즈를 파악하고 충족시켜 주는 심리테스트입니다

 

 

롯데제과

최근에는 많은 회사들이 이런한 엠비티아이 인기를 인식하고 앞다투어

엠비티아이와 유사한 심리테스트를 제작하여

홍보를 목적으로 하나의 컨텐츠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엠비티아이 과몰입의 그 중간에 속하는 필자가

'엠비티아이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라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찾아본 것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저와 비슷한 질문을 가지고 계셨던 불특정 다수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