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5)
엠비티아이 INTJ 인티제 특징 (2) 어제 글과 이어집니다 인티제가 보는 인티제 특징에 관한 글   엠비티아이 과몰입 주의, 물론 필자는 과몰입 전적이 있지만이 글은 엠비티아이를 통해 개인의 성격을 확정 짓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하나의 도구이자 표현을 빌려서 자아성찰에 더 가까운 글이며 당연히 모든 인티제를 대변하는 글이 아닙니다 7. 완벽주의 성향이라 스스로 피곤일단 뭔가를 시작하면 완벽하게, 좋은 결과를 내고 싶다는 목표를 가지게 되는데자기 자신에 대한 높은 목표와 기대치만큼 따라주지 않는 자신의 능력에 좌절감을많이 느끼는 것 같습니다.    8. 관심 없는 분야 전혀 신경 안 씀좋아하는 일에 관심과 에너지를 과도하게 쏟는 편이라제 기준 크게 목표가 없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일에는관심조차 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사..
엠비티아이 INTJ 인티제 특징 (1) 전에 엠비티아이가 왜 유행하는지에 대한 글을 쓰고 난 이후로엠비티아이라는 주제로 어떻게 하면 재미있고 유익한 글을 쓸 수 있을까고민하다가 몇 가지 목록을 생각해 두었는데요 오늘을 일단 그것들은 뒤로 하고저의 엠비티아이 유형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 블로그에서 재미있고 유익한 글을 쓰는 것이 목표인데아니 누가 필자의 엠비티아이를 궁금해할까 하고잠시 주저하였지만 그래도 일단 밀고 나가겠습니다    제 엠비티아이는 (일명 인티제라 불리는) INTJ  입니다.     인티제는 엠비티아이의 네 가지 좌표 중 I (내향), N (직관), T (사고), J (계획)에 해당하는 유형인데요흔히 인터넷에서는 인티제를 차가운 인간이라 칭하고 인티제와 흡사한 유형 인팁(INTP)은 따뜻한 로봇으로 묘사하더..
<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 날아라 수제김밥 - > 관람 후기 오늘은 작년 12월 22일에 개봉한 짱구 극장판에 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더 무비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김밥~ 최초의 3D CG! 제작 기간 7년 최고의 웃음과 감동! 최강의 스케일 옷까지 갈아입은 볼록 짱구 등장! 어느 날, 우주에서 날아온 검은 빛과 하얀 빛이 떡잎마을을 향해 떨어진다. 평소처럼 저녁밥을 손꼽아 기다리던 짱구는 하얀 빛에 정통으로 맞게 되고 그러자 온몸에 넘치는 신비한 힘!힘에 몸을 맡긴 채 엉덩이에 의식을 집중하자 장난감들이 붕붕 떠오른다. "엉덩이... 엉덩이가 뜨거워...!?뭔지 몰라도 엄청난 힘을 손에 넣은 것 같아." 한편, 검은 빛을 통해 초능력을 손에 넣은 또 다른 남자는 이 세상의 파멸을 바라며 폭주하기 시작하는데,위기에 처한 세상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관람 후기 (2) 영화 제작 7년, ost 제작 4년이 걸린 작품 지브리 스튜디오 처음 이 영화를 접하고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던 저는 나름대로의 조사와 정리 끝에 다시 이 영화를 보러 가는 것을 결심합니다 (저번 글 참고) (이번 글 역시 스포의 여지가 짙습니다 부디 영화 감상 후 읽어주세요) 그렇게 보러 간 두 번째 관람은 혼자 보러 갔고요 영화를 보고 엔딩 크레딧이 내려갈 때까지 한참을 훌쩍이다 나왔습니다 왜 그렇게 눈물이 났는가, 하면 영화에 대한 기본 줄거리를 파악하고 줄거리에 대한 저 나름대로의 의미부여를 가지고 간 탓에 영화의 여러 가지 설정들과 장면이 이전보다 더 의미있게 다가왔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가 울보가 아니라 왜 울었는가, 논리적인 설명을 위해) 감동 포인트 3가지를 선정해 보았습니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관람 후기 (1) 현지 개봉 7월 14일, 국내 개봉 10월 25일로 많은 이들의 화제를 모았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10년 만의 복귀작 지브리스튜디오 영화 해석과 같은 거창한 글은 아니고 그저 영화를 감명 깊게 본 사람의 주관적인 생각들을 덧붙인 감상평입니다 가볍게 읽어주세요 하지만 영화의 스포의 여지가 짙으니, 아직 영화를 보지 않은 분이시라면 다음 기회에 읽어주세요 저는 11월 8일, 11일 두 차례 영화관에 감상하였습니다 국내 개봉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유튜브와 각종 매체에는 미야자키 감독의 영화답게 수없이 많은 영화 해석과 관련된 콘텐츠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주변에서 이미 영화를 본 사람들은 이 영화 너무 호불호 가린다, 기대를 전혀 안 하고 보면 재밌다. 라는 모호한 후기를 남기며 저를 더욱 궁금하게 만들었습..
엠비티아이, 대체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가 엠비티아이가 유행하기 시작한 건 대략 약 2018년쯤이었던 것 같은데 이제는 단순히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사람들 사이에서 명함을 건네거나통상 이름 묻기 정도로 쓰일 만큼 우리의 일상 속에 자연스레 스며든 것 같습니다. 이런 엠비티아이가 특히 우리나라에서 유별나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한국은 2018년부터 엠비티아이를 많이 검색한 국가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우리나라 사람들은 엠비티아이에 열광할까요?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대한 질문에 답을 내놓은 분들이 있습니다  미래가 불안하고 불확실한 청년층의 심리가 반영된 것 –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경제 사회적으로 어렵다 보니 자기 성격과 진로를 찾아보려는 심리 –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 젊..
새해, 새로운 시도 새해가 찾아왔습니다 연말에는 요만치 감도 안 와서 별로 아쉬울 것도 없고 그저 그런대로 지나갔는데 달력에서 2024 숫자를 보는 순간부터 갑자기 당장 뭔가를 새로 시작해야 할 것 같은 부담감과 앞으로의 계획은? 이라는 불안감이 머리를 맴돌더군요 새벽에 통 잠이 오지 않아 대충 서랍 어딘가에 처 박혀있던 이면지를 한 장 꺼내서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 진지하게 고뇌에 빠졌습니다 어떻게 살 것인가 라는 말만 놓고보면 앞으로의 삶에 대한 방향과 그에 대한 고찰 뭐 이런걸로 퍽 낭만적으로 보일지도 모르겠지만 사실은 앞으로 어떻게 먹고 살 것이냐 에 대한 지극히 현실적인 고민이었습니다 그래서 도달한 결론은요 역시 글을 써야겠다 입니다 글솜씨가 퍽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이제껏 글을 쓰며 살았고 아주 소수지만 종종 ..